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마라마라빔
- 함밥
- 그리디알고리즘
- 장고
- 소프트웨어공학
- Bellman-Ford
- Planned
- 백트래킹
- 동적계획법
- SQL
- 백준
- minimum spanning tree
- DP
- 종합설계
- 최소스패닝트리
- Kruskal
- 실습
- 알고리즘
- 파이썬
- django
- B대면노래방
- codetree
- 모각코
- 프로그래머스
- MyPlaylist
- 데이터베이스
- 코드트리
- DFS
- programmers
- BFS
- Today
- Total
목록9205 (2)
Leta Learns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snXe/btrc8BnRP7G/c4S2Gf13e8crpcxsiykEk1/img.png)
문제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9205 9205번: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송도에 사는 상근이와 친구들은 송도에서 열리는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 가려고 한다. 올해는 맥주를 마시면서 걸어가기로 했다. 출발은 상근이네 집에서 하고, 맥주 한 박스를 들고 출발한다. www.acmicpc.net 박스에 맥주를 최대 20개 까지 담을 수 있고, 50m에 맥주 한 병씩을 마셔야 한다. => 노드들 간의 거리가 1000m를 넘어서는 안 된다. 문제가 복잡해보이게 적혀있어서 그렇지 이것만 이해하면 나름 괜찮았던 것 같다. 입력 받는 부분에서 1차로 막혔었는데 편의점이 n개라서 for문을 n+2로 돌려서 입력값 전체를 다 받으려고 했었다. 다시 보니까 편의점 n개만 for문으로 돌리고 ..
문제를 처음 봤을 때 이해가 가지 않아서 무슨 말인지 한참을 읽었다. 우선 50m마다 맥주를 마셔야 하고, 맥주는 20개 씩 들고 갈 수 있다는 말이 노드와 노드 사이의 거리가 1000m가 넘어서는 안된다는 뜻임을 캐치해야 했다. 그 후에는... 누가누가 코드로 잘 만들어내느냐.... dxdy기법 안 쓴 bfs 문제 오랜만이라 재밌고.. 어려웠다.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= sys.stdin.readline def bfs(): q = deque() q.append([home[0], home[1]]) while q: x, y = q.popleft() if abs(x - fest[0]) + abs(y - fest[1])